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 은행별 건전성 등급 & BIS 비율

by brain700 2025. 4. 18.
반응형

은행의 건전성과 BIS 비율은 예금자나 대출자 입장에서 신뢰도와 리스크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여기에 1억 예금 vs 1억 담보대출 관점에서 추천 은행과 상품 방향도 함께 제안드릴게요.


🏦 2025년 기준 은행별 건전성 등급 & BIS 비율


✅ 1. BIS 비율이란?

  • BIS 비율(Basel III 기준 자기자본비율):
  • 은행의 자산 대비 위험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비율이 높을수록 건전성 높음, 금융 위기에 대한 방어력 강함

📌 국내 기준 권고치는 10.5% 이상, 대부분의 1금융권 은행은 14~18% 유지


✅ 2. 주요 은행별 BIS 비율 (2024년 말 기준)

은행명 BIS 비율 비고

신한은행 16.0% 매우 안정적
KB국민은행 15.8% 건전성 우수
하나은행 15.5%  
우리은행 15.0%  
IBK기업은행 14.7% 국책은행 / 중소기업 특화
NH농협은행 14.2%  
SC제일은행 18.0% 외국계 은행
카카오뱅크 13.1% 인터넷은행 중 가장 양호
케이뱅크 11.8%  
토스뱅크 10.5% 기준치에 가까움
새마을금고 (전국 평균) 약 7~8% 수준 지점 편차 큼
저축은행 평균 9~10% 수준 일부는 미달 위험 있음

📌 가장 안정적인 은행 TOP 3:
SC제일 > 신한 > 국민


💰 1억 예금 시 추천 은행 및 전략


✅ 1. 예금자보호 범위 내로 분산 예치

  • 예금자보호법: 1금융권 예금은 1인당 1금융기관당 최대 5,000만 원까지 보호
  • 💡 따라서 1억 예금 시, 2개 은행에 나눠서 각각 5천만 원씩 예치하는 것이 기본 전략

✅ 2. 추천 은행 + 상품 조합

은행 예금 상품 특징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1년 기준 연 3.3% (2025.04 기준), 앱에서 간편 가입
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연 3.25% + 이벤트 금리 적용 가능
토스뱅크 수시입출금 예금 최대 3.5% (조건 無, 파킹형)
케이뱅크 코드K 자유예금 최대 연 3.5%, 편리한 모바일 예금
우리은행 WON예금 연 3.1% 내외

📌 만기 12개월 기준, 조건 없는 고금리 상품은 인터넷은행 파킹통장 + 1금융 정기예금 조합이 유리


📌 TIP: 1억 예금 전략 요약

  • 5천만 원씩 2~3개 은행 분산 예치 (예보 보호 목적)
  • 모바일 은행(토스·케이뱅크) 고금리 + 전통 은행 정기예금 혼합
  • 단기 보관 시엔 파킹통장(토스, 케이뱅크) 활용

 

반응형